SW마에스트로 14기 연수생 뱁새입니다. 윗 멘트를 얼마나 하고 싶었는지... SWM 14기 연수생으로 선발되어서 자랑하는 상상을 계속하곤 했었다😀 지난 13기처럼 발표가 10시 30분에 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10시 30분부터 30분 간격마다 계속 핸드폰을 쳐다봤다. 진짜 공부도 집중이 하나도 안 되고 계속 안절부절 못하는 상태였다. 하지만 5시에 발표가 났다는... 조금 더 빨리 발표해주지 너무한 거 아니냐고ㅠㅠㅠㅠ... 그래도 붙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 ω •́ )y 사랑해요 소마! 💙 SWM 지원 후기 💙 5시쯤에 위와 같은 메일이 왔다! 미리 보기로 봤을 때 '안녕하세요?'로 시작하길래 불안했지만... 알고 보니 합격 메시지였다! 캠퍼스에 있었는데 기분이 너무 좋아서 방방 뛰었다😆 이렇게까..
1️⃣ HTML : 현재 문서가 HTML임을 명시 ✅ id vs class class는 그룹으로 묶어서 스타일을 지정할 때 사용 id는 하나의 개체에만 스타일을 지정할 때 사용 ✅ head 태그 주요 태그 link 태그 검색 엔진 최적화: 검색 엔진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게시글이 노출이 잘 되도록 하는데 주로 이용됨. ✅ body 태그 , , , 등의 태그가 존재한다. 2️⃣ CSS content: 내용 padding: content와 border 사이의 공간 border: 테두리 margin: 테두리의 바깥 공간 ✅ CSS 적용 방식 인라인 스타일: html body의 태그 안에서 style 요소를 이용해서 적용. 해당 요소에만 적용. 내부 스타일 시트: 태그 안에서 태그를 이용. 해당 html 페이지에..
Spring을 공부하고 Spring Boot를 사용하면서, 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점도 모르면 안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래서 갑작스레 해당 게시글을 작성하게 됐다. 🤔 Spring vs Spring Boot Spring과 Spring Boot는 둘 다 JAVA를 기반으로 한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 ① 설정 방식 Spring은 기본적으로 개발자가 직접 설정하여 사용해야 하는 반면, Spring Boot는 자동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설정을 더욱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Spring Boot는 개발자가 간편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내장형 서버 제공 Spring Boot는 내장형 서버를 제공하므로, 서버를 별..
해당 글은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라는 책을 읽고 핵심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02장 스프링 부트에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자 1️⃣ 테스트 코드는 왜 작성해야 할까? 개발단계 초기에 문제를 발견하게 도와준다. 개발자가 나중에 코드를 리팩토링하거나 라이브러리 업그레이드 등에서 기존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기능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시스템에 대한 실제 문제를 제공한다. 즉, 단위 테스트 자체가 문서로 사용할 수 있다. 2️⃣ 주요 Annotation 설명 @SpringBootApplication 스프링 부트의 자동 설정, 스프링 Bean 읽기와 생성을 모두 자동으로 설정. 해당 어노테이션이 있는 위치부터 설정을 읽어가기 때문에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