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코딩하는 뱁새 보셨어요?
Java/Spring

[Spring]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패턴

⚙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 vs 도메인 모델 패턴 🔗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이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된 로직을 단일 함수 또는 단일 스크립트에서 처리하는 구조 Entity에는 비즈니스 로직이 거의 없고, Service Layer에서 대부분의 비즈니스를 처리하는 것 🔗 도메인 모델 패턴이란? Entity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가지고 객체 지향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는 것 대부분의 비즈니스 로직이 Entity 안에 구성되어 있다. Service Layer는 Entity에 필요한 역할을 위임하는 역할을 함 🔗 장단점 패턴명 트랜잭션 스크립트 도메인 모델 장점 - 구현 방법의 단순함 - 얼마나 모듈화를 잘하느냐에 따라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음. - 객체 지향에 기반한 재사용성, 확장성, 유지 보수의 편리함 단..

Web/HTTP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에 대해 알아보자

1️⃣ 상태 코드(Status Code)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1xx (Informational):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2xx (Successful): 요청 정상 처리 3xx (Redirection):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4xx (Client Error): 클라이언트 오류, 잘못된 문법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 5xx (Server Error): 서버 오류,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2️⃣ 2xx - 성공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 200 OK 201 Create 202 Accepted 204 No Content 🔷 200 OK 요청 성공 🔷 201 Created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 202 Acc..

Web/HTTP

[HTTP] HTTP에 대해 알아보자

해당 게시글은 김영한님 HTTP 강의를 공부하고 기록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1️⃣ HTTP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TP 역사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 X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 HTTP/2 2015년: 성능 개선 HTTP/3 진행 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2️⃣ HTTP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스리스), 비연결성 HTT..

Web/HTTP

[HTTP] PORT와 DNS에 대해 알아보자

해당 게시글은 김영한님 HTTP 강의를 공부하고 기록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1️⃣ PORT란? 목적지 IP에 도착하여 해당 서버를 만났을 때, 이 서버에서 실행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2개 이상인 경우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까? 해당 문제를 위해 전송 계층의 데이터 단위인 세그먼트의 헤더에 출발지 PORT와 목적지 PORT에 대한 정보가 있다. 인터넷 계층에서 IP주소를 보고 수신지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전송 계층에서 포트 번호를 보고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할 데이터인지 식별한다. 즉, 포트 번호는 동일한 컴퓨터 안에서 통신을 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때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주소이다. 2️⃣ 포트 번호 예시 0 ~ 65535 할당 가능 0 ~ 1023: 잘 알려진 ..

당찬 뱁새
코딩하는 뱁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