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게시글은 김영한님 HTTP 강의를 공부하고 기록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1️⃣ IP(Internet Protocol) IP란? 인터넷 프로토콜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컴퓨터, 서버 장비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 부여되는 주소이다. 2️⃣IP 프로토콜의 한계 IP 프로토콜은 다음의 한계가 존재한다.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ex) 서버가 패킷을 받을 수 없는 상태임에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상태를 알 수 없다.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는 경우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구분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
상태 코드에 대한 글을 다시 작성했습니다. 해당 글을 확인 해주세요! HTTP Response의 첫번째 줄은 Version과 Status code로 구성돼있다. 이 글에서는 Status code 중 주로 사용되는 code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Status code Status code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서버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2. 주요 Status code 📌 200번 영역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서버의 처리가 성공하였음을 나타낸다. 200 OK 201 Created 📌 300번 영역 사용자가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경로로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웹 브라우저에서 300번 영역의 응답 상태 코드가 반환되면, Response 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Location 헤더의 값..
1. 웹이란 무엇인가? 웹(Web)을 공부하기 위해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웹(Web) : 인터넷상의 서비스 중 HTTP를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통신 서비스 웹 서버(Web Server) 사용자가 어떻게 호스트 파일들에 접근하는지를 관리 주소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및 응답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 :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2.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의 원리 및 기술 사용자(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의 원리와 기술을 단계별로 알아보자. 📌 Web Browser(웹 브라우저) Chrome, Edge, Safari 등이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다. 웹 브라우저란 웹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다. 웹 브라우저는 HTTP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