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당 글에서는 기능개발 문제를 Python을 이용해 풀이하고자 한다.
🔷 문제 설명
더보기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 문제 풀이
현재 배포될 작업의 진도가 뒤에 있는 작업의 진도보다 큰지를 판단하면 된다.
위를 판단하기 위해 각 작업별 진도를 모두 구해야 한다.
각 작업별 진도를 모두 구한 후에는 0번째 인덱스부터 n-1번째까지 순환하면서, 현재 배포될 작업의 진도보다 작은 진도를 가진 작업의 수를 탐색하면 된다.
작업의 수를 answer라는 정답을 저장할 list에 따로 저장해둔 후 반환하면 된다.
🔷 코드
최종 코드는 다음과 같다.
- days: 각 작업별 진도
- i: 현재 확인하고 있는 진도의 인덱스
- cur: 현재 확인하고 있는 진도
- cnt: 연속되는 작업의 수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math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days = deque()
for d in range(len(progresses)):
days.append(math.ceil((100-progresses[d])/speeds[d]))
i = 0
while i < len(days):
cur = days[i]
cnt = 1
while i+1 < len(days) and cur >= days[i+1]:
cnt += 1
i += 1
i += 1
answer.append(cnt)
return answer
반응형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베스트앨범(LV3 - JAVA, Python) (0) | 2024.04.23 |
---|---|
[프로그래머스] 전화번호 목록(LV2 - Python) (0) | 2024.04.16 |
[프로그래머스] 큰 수 만들기(LV2 - Python) (0) | 2024.04.13 |
[프로그래머스] 줄 서는 방법(LV2 - Python) (0) | 2023.04.09 |
[프로그래머스] 무인도 여행(LV 2 - Python) (1) | 2023.04.09 |